티스토리 스킨 변경 및 수정!! 


거의 1년동안 엔하늘님의 skyfac.diary v1.1 스킨을 쓰다가 몇주전부터 새로운 스킨을 찾다가 lawlite님이 수정하여 배포하신 Whitegound 스킨을 발견하여 오늘 설치하게 되었다는..


Whitegound용의자님의 Plain 스킨을 lawlite님이 수정하여 배포한 스킨.


Whitegound 스킨 설치하기: http://lawlite.tistory.com/249


P.S. 티스토리 스킨 변경에 도움을 주신 듀륏체리님, 감사합니다!!

주위 시선에서 본 프로그래머(Programmer)



윈도8 정식판(RTM)이 이르면 오는 8월초 완성돼 PC 제조사와 기업 사용자들에게 제공된다. 

개인용 윈도8은 오는 10월 상용화(GA)될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9일(현지시각) 캐나다 토론토에서 세계파트너컨퍼런스(WPC)를 열고 차세대 운영체제(OS) 개발 및 출시 일정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현장에서 타미 렐러 MS 윈도 최고마케팅책임자(CMO) 겸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윈도8 RTM이 오는 8월 첫주를 목표로 만들어지고 있다"며 "소프트웨어 어슈어런스를 적용받는 기업고객들은 이르면 8월부터 윈도8 제품을 완전히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기사 출쳐: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20710080919

[초보자도 할수있다] VMware 윈도우8 가상머신 설치방법 Part 1/2: VMware 설치

윈도우 8 릴리스 프리뷰 가상머신 설치방법


컴빅스™의 가상머신 설치 PC환경

OS: Microsoft Windows 7 Ultimate 64비트

서비스 팩: Service Pack 1

프로세서: Quad Core Intel Core i5 750, 2933 MHz

비디오 카드: NVIDIA GeForce GT 240  (1024 MB)

메모리(RAM): 4.00GB

VMware 버전: VMware® Workstation 8.0.4 build-744019


VMware Workstation 8.0.4 셰어웨어 - 다운로드

윈도우8  릴리스 프리뷰  VMware Workstation 8 설치 오류 해결 방법- 구경가기

윈도우 8 릴리스 프리뷰 한국어 버전 ISO 이미지 - 무료 다운로드


1. 먼저 VMware Workstation 실행 아이콘 클릭 실행.



2. 상단 탭에 있는 "Home" 클릭하고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클릭.




3. "Typical" 선택.



4. "Installer disk image file (iso)" 에서 "Browse.."버튼 클릭해서 다운받은 이미지경로로 열기.



5. Microsoft Windows선택. Version에서 "Windows 7" 선택.

(만약 다운받은 이미지가 64비트이면 "Windows 7 x64"  선택.)



6. 제품 키와 계정 이름 입력.

제품 키: TK8TP-9JN6P-7X7WW-RFFTV-B7QPF

Windows 8 제품 키.txt




7. 가상머신 이름 입력하고 가상머신 하드 저장경로 지정.



8. 가상머신 하드용량 지정.



9. "Customize Hardware"버튼 클릭.



10. 그러면 이 옵션창이 나옴.



11. 이 옵션창에서 "Floppy"를 선택한다음 "Remove"버튼을 눌러 Floppy를 삭제.

가상머신 켜고 설치시 에러 날때 "Floppy" device가 삭제되어있는지 확인 바랍니다.



12. 그러면 다음과 같이 Device영역에서 "Floppy"가 없어진 것을 확인할수 있다. 

확인 하셨으면 "Close"버튼 클릭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이해

 

1.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정의

사용허락. 저작권자가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여 다른 사람에게 특정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허가함. 오픈 소스 라이선스는 해당 오픈 소스 사용방법, 조건, 의무를 명시하고 있으며, 일를 위반할 경우 저작권 위반으로 규정함.
라이선스 운영의 이유 :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들어짐

eg) GPL, LGPL, BSDL, GPLv3, Apache License, Eclipse Public License ...

가장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것은 GPL, LGPL이며 대략 69%정도의 사용률을 가짐.
Public Domain 라이선스는 아무런 제한이 없는 공공 자산을 의미함. 저작권의 유효기간이 넘은 소스코드가 해당하는 라이선스

GPL과 GPLv3의 가장 큰 차이점은 Tivoization 에 해당하는 행위를 금지하는가 하지 않는가의 차이라고 생각하면된다. (사용자가 수정한 소스코드를 이용해서 원래의 장비를 기동하려하면 작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

공통적 준수 사항
저작권 관련 문구, 제품명 중복 방지, 서로 다른 라이선스의 조합
※ 라이선스의 양립성(Compatibility) 문제 : MPL, GPL을 조합한 라이센스를 적용할 경우 요구 조건이 서로 달라 배포 자체가 불가능해지는데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함.

선택적 준수 사항
사용 여부 명시(참조나 출처, 문서로 만들어서 함께 배포가능), 소스 코드 공개(원본 소스 코드, 추가 및 수정분, 링크하여 사용하는 경우), 특허(오픈 소스 SW의 원취지 위배)

개략적 내용
현존 오픈 소스 라이선스는 약 1250개 이상.
Reciprocal 오픈소스 : GPL, LGPL. 오픈 소스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코드도 오픈 소스로 공개
Permissive 오픈소스 : BSD, Apache. 오픈 소스를 사용하여 상업적인 용도의 사용도 가능

2.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종류
GPL(General Public License)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대표적 라이선스. 리눅스, MySQL, GCC
GPL 소프트웨어의 파생물을 만들게 되면 파생물 역시 GPL
2007.6.27에 발표된 GPLv3의 경우 라이선스 구속력이 강화되어 적용
(GPL 침해 업체는 GPL 소프트웨어 사용금지, 그렇지 않은 업체의 경우 DRM 기능을 탑재한 기기에서만 GPL 적용 소프트웨어 사용)

GPL 대표준수 사항
1) 자유로운 사용 복제 배포 및 수정
2) 저작권 표시, 보증 책임이 없다는 표시 및 GPL에 의해 배포된다는 사실 명시
3) 파생 소스의 경우 GPL 라이선스로 소스 코드를 공개
4) 예외사항으로 리눅스 기반 App 경우 소스 공개 불필요. sun 자바의 경우 classpath 관련 소스코드 공개 불필요
5) 커널 모듈 형태의 Loadable Device Driver 소스 공개 불필요
6) 소스코드 또는 Written Offer 를 함께 제공
7) 자신의 특허를 Royalty-Free 로 제공한 경우에 한하여 이를 구현한 프로그램을 GPL로 배포 가능, 제3자 특허인 경우에도 특허권자가 Royalty-Free 형태의 라이선스를 제공해야만 해당 특허 기술을 구현한 프로그램을 GPL로 배포 가능

LGPL(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OSS의 활발한 사용 권장을 위하여 GPL 규정을 약화시켜 사용 소프트웨어와 자유롭게 연결

LGPL 대표준수 사항
1) 소프트웨어에 대한 자유로운 사용, 복제, 배포 및 수정등을 허용함
2) 저작권 표시, 보증 책임이 없다는 표시 및 LGPL에 의해 배포된다는 사실을 명시
3) LGPL 라이브러리의 일부를 수정하는 경우 수정한 라이브러리를 LGPL에 의해 소스코드를 공개
4) LGPL 라이브러리에 응용프로그램을 링크할 경우 소스코드 공개 불필요
5) 라이브러리 수정 후 동일한 실행 파일 생성을 할 수 있도록 링크시 응용프로그램의 오브젝트 코드를 제공
6) 특허는 GPL과 동일

MPL(Mozilla Public License)
모질라 브라우저의 소스코드 공개. 개작시 소스코드 공개의 의무 및 상업적 이용 허락.
여러 상업적인 성격을 띠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들의 초기 모델
IBM공용 라이선스를 포함한 여러 상용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의 근간

기타 라이선스
Academic Free License, IBM Public License, BSD License, .....

오픈 소스 라이선스의 비교
Copyleft : Copyright 에 대한 언어적 유희. 저작권법의 복제 및 수정에 대한 엄격한 제한을 거부. GPL이 대표적인 라이선스이며 Reciprocal 라이선스.
cf) BSD 와 같이 2차 저작물에 대해서 어떤 라이선스등 가능하게 하는 것을 Permissive 라이선스라고 부른다.

오픈 소스 SW의 양립성
A 라이선스 : 2차 저작물 A 라이선스로 선언
B 라이선스 : 2차 저작물 B 라이선스로 선언
이런 경우 라이선스는 양립성이 없다고 말한다.

다중 라이선스의 종류
이중 라이선스 : 2가지 종류의 라이선스를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구분하여 적용
(비지니스 모델로 주로 사용됨)
eg) MySQL AB : GPL과 상용 라이선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어떤 라이선스를 따르더라고 실재 사용자가 얻는 프로그램을 동일하지만, 상용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경우 튜닝된 성능과 관리도구를 사용가능하게 만드는 점이 다르다.

 

첨부 파일: 02_오픈소스라이선스의이해_요약본_080728.pdf

 


+ Recent posts